서포터즈 Supporters/공알즈 4기

공학인증/공학교육인증제도 해야할까 고민된다면

우주대스타 프린이 2021. 1. 8. 18:48

공대생이거나 공과대학을 희망하고 있다면 공학인증을 해야 할까 고민이 될 텐데요.

공학인증 꼭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

지난 포스팅에서는 공학인증/공학교육인증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했는데요.

공학인증에 대해 좀 더 쉽고 자세히 설명하고 혜택에 대해서도 소개하려고 합니다.

내용 파악이 쉽도록 카드 뉴스로 제작해보았습니다. 

글의 마지막에는 카드 뉴스를 묶어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카드뉴스가 보기 불편하셨던 분들은 영상 참고해주세요📹

 

공학인증 / 공학교육 인증제도가 무엇인지 이해가 가시나요? 

한국 공학교육인증원에서 정의하는 공학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말하는 공학인증 / 공학교육 인증제도는

" 공과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해당 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이 산업체의 수요와

글로벌 스탠다드를 충족하는 역량을 갖추게 되는 것을 인증하는 제도"

입니다.

너무 말이 어렵지 않나요???🧐

저는 읽어보아도 "그래서 어떤 프로그램인데?"라는 의문점이 생겨서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1년 동안 공학인증을 직접 해보면서 느낀 공학인증의 정의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공학인증제도는

"학교는 인재를 키울 수 있고 학생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을 참여하고 

전문가가 되는 서포트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로에게 윈윈이 되어주고 있는 프로그램"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학교마다 인증 학과와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학교는 전문성을 가진 공대생 / 공학도로 학생들을

이끌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에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이수하면서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학교와 학생에게 모두 좋은 제도✨라고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http://www.abeek.or.kr/  에 접속하시면 재학 중이거나 궁금한 학과와

대학이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현황 EAC CAC ETAC 총계

www.abeek.or.kr

 

 

한동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가천대, 가톨릭대, 경기대, 강원대,

국민대, 단국대, 동국대, 동의과학대, 부산대, 서울과학기술대, 세종대, 연세대,

인하대, 한남대, 한양대, 홍익대 등 총 83개

 

대학에서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학과로는 "컴퓨터 공학부, 건축공학부, 화학공학부, 전자공학부, 기계공학부" 등이 있습니다.

83개의 대학에서 449개의 프로그램이 진행 중입니다.

따라서 학교마다 모든 공학부가 인증제도에 참여할 수 있고 참여하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 

때문에 확인은 필수입니다! 

학교와 학과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http://www.abeek.or.kr/ 

접속하시면 오른쪽 윗부분에 [인증현황]이 있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현황 EAC CAC ETAC 총계

www.abeek.or.kr

[인증현황]을 클릭하시면 [인증프로그램]이 뜹니다. 

[인증프로그램]에 대학명과 전공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데 검색하여

대학과 학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접속방법]

아래 사진에 나온 순서대로(1번 -> 2번) 접속하면 대학명과 전공분야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대학명 또는 전공분야를 입력해서 학교와 학과가 공인인증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인인증 / 공학교육 인증제도는 왜 만들어진 걸까요?

첫째👍, 졸업생이 공학 현장에 효과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음을 보장하기 위해

둘째✌️, 세분화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이 인증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셋째🤟, 공학 교육에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의 도입을 장려하기 위해

넷째🖖-👍,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기여하기 위해

 

 

이 포스팅에서 가장 궁금한 파트!

"공학인증제도 / 공학인증제도를 꼭 해야 할지 또는 해야 하나 고민된다" 

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은 무조건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전과해서 졸업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고 굳이 해야 하나 라고 생각하실 수 도있지만

정말 특별한 경우 아니라면 꼭 인증 이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먼저 취업에 더 유리해집니다.

취업이 다는 아니지만 취업을 고려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어학능력을 가진 취업률 75%, 학점이 높은 학생의 취업률 66.7%,

자격증을 가진 학생 취업률 70%, 봉사활동의 취업률은 26.7%,

설계과목수강 여부 76.7%입니다.

이때 공학인증을 이수했을 때 취업률은 83.3%입니다. "

설계과목을 수강했을 때의 취업률과는 약 6% 차이가 납니다. 학교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공학인증을 도입하는 공대는 인증 프로그램에 설계과목을 포함하여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공학인증을 했을 때 취업률과

가장 낮은 취업률과는 약 3배 차이가 나는 것이고 어학능력을 가진 취업률과는

8%의 차이가 나게 됩니다.

" 또한  총 252개의 기업에서 서류전형 우대 등 혜택 및 우대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는 서류전형 우대를 2006년부터 하고 있으며 Ahnlab 또한 2005년부터 서류전형

우대를 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기업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 접속하여

[인증소개] -> [인증혜택(국내)]를 보시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공대 졸업생 중에도 비인증 졸업생 취업률은 70.9%였으며 이에 비해

인증 졸업생 취업률은 89%18%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접속방법]

한국공학교육인증원(http://www.abeek.or.kr/ )에 접속합니다. 순서에 맞추어 [인증소개]를
클릭하면
[인증혜택]이 두 번째 위치하는 카테고리가 나옵니다. [인증혜택]에서 -국내혜택을
클릭하면 서류 우대를 해주는 252개의
기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현황 EAC CAC ETAC 총계

www.abeek.or.kr

 

 

공학인증은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취업 외에도 공학인증을 했을 때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대학교 4년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는 인증제도에 참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더 많은 혜택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소개되는 혜택 또한 모든 공학인증제도를 이수한 졸업생에게 적용되는 혜택입니다.

 

 

해외로 취업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국제 혜택도 있는데요. 

바로 국제기술사 신청 자격을 주어주고 워싱턴 어코드에 따라 미국, 호주 등 20개 정회원국의

졸업생과 동등한 자격을 부여합니다.

 

 

추가적인 국내 혜택으로는 대학생들을 위한 혜택인데요.

국가 우수장학금 연계로 우수자 선발 시 선발인원의 15%를 공학교육인증 과정 운영 학과

소속의 학생으로 선발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장학금까지 탈 수 있는 최고의 기회입니다.

[접속방법]

국내혜택과 국제 혜택을 더 많이 알아보시려면 위에 언급되어 있는 방법대로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
접속해서 [인증소개]에서 [인증혜택]을 클릭하면 -국제혜택과 -국내혜택으로 나누어져서 볼 수 있습니다.

 

 

공학인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학교마다 프로그램과 학과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확인은 필수입니다.

공학인증을 하는 학과에 재학 중인데 아직 고민 중이시거나 희망하시는 학우님들께 저는 공학인증

고민하지 말고 꼭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특히 한동대에 재학 중이거나 한동대를 희망하고 학과가 전자공학부나 컴퓨터공학부라면

꼭 공학인증을 추천하고 싶은데요. 그 이유는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하고 좋은 내용을 담아

한동대학교 공학인증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으시다면 공학인증교육원 홈페이지,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abeek__official을 확인해주세요!

저는 또 좋은 정보를 가지고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대외활동 계정은 @jje_ong2021입니다.

 

[영상은 여기에!!! 🎥]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꼭꼭 부탁드립니다~!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