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터즈 Supporters/공알즈 4기

한동대 컴퓨터 공학과 전자공학 다 모여라❗️ 공학인증은 필수다❗️

우주대스타 프린이 2021. 1. 15. 19:17

제가 제학중인 한동대학교에서도 공학인증 /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2020학년도 1학년 1학기 때부터 공학인증을 신청했는데요. 

코로나 때문에 1학기에 학교를 못가서 글로만 공학인증을 접하게 되었어요.

글로 몇번을 읽어도 공학인증이 대체 무엇인지 감도 안잡혔답니다.

 

저는 다행히 1년동안 공학인증 /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에 잘 참여했습니다.

그런데 잘 알지도 못하고 우연히 하게된 활동들이 정말 많습니다.

다른 재학생 학우님들, 후배님들은 잘 알아놓고 놓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정말 자세히 

소개를 준비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카드뉴스와 설명으로 진행되며 라디오형식으로된 영상설명 또한 올려놓았습니다.

[🎥영상 링크는 아래]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krdmsahdzl&Redirect=View&logNo=222208556481&categoryNo=13&isAfterWrite=true&isMrblogPost=false&isHappyBeanLeverage=true&contentLength=16791

 

한동대 컴공 / 전자학과 이건 알고가자❗️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동대학교 컴퓨터공학심화를 전공하면서 공학인증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오늘...

blog.naver.com

 

목차를 정리해두었으니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

그럼 이제 시작합니다~!

 

 

한동대학교는 2011년 2월, 전자공학심화 프로그램과 컴퓨터공학심화 프로그램이

공학교육인증(이하 '공학인증')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공학인증 / 공학교육인증의 정의와 목적, 저만의 이해에

대해서 정말 자세히 다루었는데요. 짧게 정리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바로 밑에 링크를 접속해주세요⬇️

저는 1년동안 경험을 하면서 공학인증은 ✨"학교와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라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2011년에 공학인증을 정식으로 획득한 한동대는 전사전자공학부의 

전자공학심화컴퓨터공학심화라는 2개의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도 전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자공학"심화"와 전자공학, 그리고 컴퓨터공학"심화"와 컴퓨터공학은

학점이수 부터 내용이 다릅니다. 인증과 비인증 차이는 조금있다가 추가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공학인증 신청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공학인증 신청은 1학년 1학기 때부터 가능하며 한 학기에 한번씩 추가적으로

공학인증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일정은 히즈넷 공지사항을 참고해주세요!!!

먼저 한동대학교 홈페이지 히즈넷에 접속 ➡️
[학사정보]를 클릭 ➡️ [학적]을 클릭하여 목차에서 [공학인증신청]을 찾습니다.

공학인증 신청기간일 때 공학인증신청을 누르면 바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어렵지 않쥬???

 

 

공학인증이 신청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학사정보] 에서 [기본정보]에 들어가면 공학인증 부분에 "신청"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한동대학교는 1학년 무전공, 전공 선택시 2전공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학년 무전공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공학인증은 1학년 때부터 가능하며 공학인증시

컴퓨터공학심화와 전자공학심화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공학인증을 하게 되면 2전공 필수가 적용되지 않아 부전공이 있지 않습니다.

부전공의 여부가 공학인증과 비인증 학생의 가장 큰 차이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동대는 부전공이 필수입니다. 복수전공 의무로 대부분

33학점(1전공) + 33학덤(2전공)의 형태로 전공 학점을 이수해야합니다.

공학인증 전공학점은 60학점입니다. 공학인증을 비인증하게 되면 컴퓨터 전공을 

33학점 듣게 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전공 학점이 3학점인 것을 감안하면

공학인증 학생은 약 20개의 강의를, 비인증 학생은 약 11개의 강의를 수강하게 됩니다.

거의 2배 차이의 수업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학인증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교과목 이수체계도" 라는 커리큘럼 계획을 줍니다.

필수적으로 똑같이 할 필요는 없지만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이수 계획도이니 어느정도는

참고해서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자공학 심화 이수체계도를 보며 빨간색이 실수 수강과목인데 5개의 필수 수강 과목을 제외하면

비인증 학생은 6개의 수강을, 인증 학생은 15개의 과목을 더 수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MSC/BSM(수학과학 교양) 학점에서는 비인증학생은 9학점, 인증학생은 30학점입니다.

기초 수학과학교양에서도 3배이상의 학점 차이로 기초적인 부분에서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에서도 비인증학생은 MSC/BSM를 9학점, 인증학생은 18학점을 이수해야하므로

2배의 차이가 납니다. 컴퓨터 공학은 필수과목이 11개로 더욱 많습니다. 

또한 전자공학, 컴퓨터 공학 모두 설계과목이 5개씩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설계과목을 이수한 학생의 취업률76.7%였습니다. 

공학인증 학생들은 설계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하며 비인증학생들은 선택에 따라

설계과목을 이수해야하는데 설계과목이수 여부와는 관계없이 인증학생보다는 

공부량이나 분야에 대한 지식에 대해 차이가 나게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컴퓨터공학심화프로그램으로 공학인증을 참여하면서 공학인증을 정말

추천해드립니다.👍

그 이유는 학교로부터 충분한 서포트와 공학인증학생만을 대상으로하는 다양한 활동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한동대의 서포트와 활동에 대해서는 다음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전공학점부터 기초 교양 학점까지 수강 과목 차이가 크다 보니 학부에 

대한 이해도가 인증을 할 때 높아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가 되기 위한 동기부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공학인증을 하면 전공교수님을 배정받게 되는데 개별지도를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서포트와 활동을 그리고 학부이해도에 의해서

전문가가 되고 싶다는 동기가 확실히 된다고 느꼈습니다.

 

 

먼저 한동대학교의 서포트는 노트북 대여 사업입니다. 노트북은 무려 맥북이며

컴퓨터공학심화는 1학년 때부터, 전자공학심화는 2학년 때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연장신청을 통해 4년 대학생활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맥북은 개발환경에 뛰어난데

맥북지원이라니 정말 큰 서포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 대여 사업은 공학인증 학생들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두번째로 위대한 한동대의 서포트는 바로 마일리지 장학금입니다. 제가 공학인증을 신청했을 때 정말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이 바로 마일리지 장학금입니다.

처음에는 멤버십 포인트라고 이해하고 있었으나 마일리지 장학금을 지급받음으로써 

전학기 활동 이력을 보고 활동에 따라 장학금을 지원해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동기부여를 해주는 장학금 제도 입니다.

 

 

다음은 공학인증의 밤과 교수님들의 특별 강연들입니다. 공학인증의 밤은 1학년들

공학인증 신청자 대상으로 진행되며 본 행사에서 공학인증, 전공에 대한 이야기와

선배들과의 이야기를 통해 멘토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교수님들의 강연들이 있는데 공학인증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연은 아니지만

종종 공학인증자들에게 특별한 혜택이 있기도 하기 때문에 추가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전산전자공학부를 중심으로 SW봉사활동, 코딩 HOUR,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등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마지막 포인트로는 한동대 공학인증 프로그램 중

컴퓨터공학심화는 워싱턴코드, 전자공학심화는 서울어코드 인증을 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코드는 77개의 학교와 402개의 프로그램이 참여중인 인증 프로그램으로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되었습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워싱턴 어코드는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등 20개의 정회원국에서 공학인증을 이수한 졸업생에게 법적, 사회적

모든 영역에 있어 정회원국의 졸업생과 동등한 자격을 부여하며 이를 인정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은 서울어코드입니다. 서울어코드는 생소하실 수 있는데요.

서울어코드도 워싱턴 어코드와 비슷하게 회원국내에서 회원국 졸업생과 동등성을 인정받아

자유롭게 취업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상호보장해주는 인증 프로그램입니다.

서울어코드는 한국이 이끈 프로그램이며 미국, 영국, 일본 등 8개의 정회원국이 있습니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한동대의 공학인증 프로그램은 전자공학심화와 컴퓨터공학심화, 2개가 있습니다.

비인증학생과 인증 학생의 가장 큰 차이는 전공 학점 이수와 커리큘럼에 있으며

인증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노트북 대여사업 등 다양한 활동과 서포트를 한동대에서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제가 재학중인 한동대학교의 공학인증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동대학교에서 공학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간단하고 정확하게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공학인증이 더 궁금하시다면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ujustar.tistory.com/3

 

공학인증/공학교육인증제도 해야할까 고민된다면

공대생이거나 공과대학을 희망하고 있다면 공학인증을 해야 할까 고민이 될 텐데요. 공학인증 꼭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 지난 포스팅에서는 공학인증/공학교육인증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설

ujustar.tistory.com

 

오늘의 내용을 좀 더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라디오 형식의 내용 정리도 있으니 방문해서 더 많은 내용 얻어가세요!

저는 그럼 다음에 더 좋은 내용과 소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